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하얼빈』 - 김훈 작가가 그린 안중근의 신념과 고뇌

by forest-pixie 2025. 3. 26.
반응형

김훈작가의 하얼빈 책 사진

1. 작품 소개

김훈 작가의 『하얼빈』은 2022년에 출간된 소설로, 안중근 의사의 삶과 신념, 그리고 그의 마지막 순간까지의 여정을 깊이 있게 조명한 작품이다. 김훈 특유의 묵직하고도 섬세한 문체로 그려낸 이 작품은, 단순히 안중근의 영웅적인 면모만을 부각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안중근의 내면과 그가 짊어진 고뇌, 시대의 무게를 담아내고 있다.

하얼빈은 안중근이 1909년 10월 26일,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장소이자, 그가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인 역사적인 공간이다. 이 작품은 단순히 한 독립운동가의 의거를 그린 것에 그치지 않고, 그가 어떤 생각을 품고 행동했으며, 왜 죽음을 각오하고 총을 쥐었는지를 깊이 있게 탐구한다. 김훈은 역사 속 안중근을 영웅이 아닌 한 인간으로 바라보고, 그의 신념과 고독, 그리움과 희망을 섬세하게 풀어낸다.

2. 줄거리

『하얼빈』은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기까지의 여정과 그 이후의 과정을 따라간다.

안중근은 조선의 독립과 동양 평화를 꿈꾸던 청년이다. 그는 가족과 고향을 떠나 만주로 향하고, 그곳에서 일본 제국의 침략으로 고통받는 조선인들의 현실을 목격한다. 일본이 조선을 병탄 하고, 민족의 자존심을 짓밟는 현실 속에서 안중근은 더 이상 참을 수 없는 분노와 사명감을 품는다.

그는 자신이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고민하고, 결국 이토 히로부미 암살을 결심한다. 이토는 당시 일본 제국의 실질적인 권력자였으며, 조선 침략의 중심에 서 있던 인물이었다. 안중근은 그를 저격함으로써 조선의 독립을 세계에 알리고, 일본의 침략 야욕을 막고자 했다.

하얼빈 역에서 안중근은 침착하게 이토 히로부미를 향해 총을 겨눈다. 방아쇠를 당긴 순간, 그는 자신의 운명이 바뀔 것을 알고 있었다. 저격 후 체포된 그는 법정에서 당당히 자신의 행동이 조선의 독립과 동양 평화를 위한 정당한 의거임을 주장한다.

그는 사형을 선고받고도 끝까지 자신의 신념을 굽히지 않는다. 옥중에서 "동양 평화론"을 집필하며, 조선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이 함께 공존하는 평화로운 동양의 미래를 꿈꾼다. 죽음을 앞둔 그는 조국을 향한 그리움과 가족에 대한 사랑, 그리고 자신이 걸어온 길에 대한 확신을 버리지 않는다.

3. 작품의 포인트

① 안중근의 인간적 고뇌와 신념

김훈 작가는 안중근을 단순한 영웅이 아닌, 고뇌하는 인간으로 그려낸다. 그는 조국의 독립을 위해 싸우면서도 한편으로는 가족과 삶에 대한 그리움, 죽음에 대한 두려움, 자신의 행동이 가져올 결과에 대한 고민을 멈추지 않는다. 안중근의 신념은 흔들리지 않지만, 그의 내면은 끊임없이 고통스럽다. 이러한 인간적인 모습은 독자로 하여금 더 깊은 공감과 감동을 이끌어낸다.

② 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상상력의 조화

『하얼빈』은 실제 역사적 사건을 기반으로 하지만, 김훈 작가는 그 안에 문학적 상상력을 더해 안중근의 심리와 삶의 순간들을 재구성한다. 하얼빈 역에서의 저격 장면, 법정에서의 발언, 옥중에서의 고독한 시간들까지, 사실에 기반한 묘사와 작가의 상상력이 어우러져 독자들에게 생생한 울림을 준다.

③ 조국에 대한 사랑과 동양 평화론

안중근의 행동은 단순한 복수가 아니다. 그는 조선의 독립을 넘어서, 동양 전체의 평화를 꿈꿨다. 일본이 침략의 야욕을 버리고, 조선과 중국, 일본이 평등하게 공존해야 한다는 그의 사상은 오늘날에도 깊은 의미를 던진다. 김훈은 이토 히로부미 저격이라는 사건을 넘어서, 안중근이 그토록 원했던 동양의 평화와 공존이라는 더 큰 이상을 작품 곳곳에 녹여냈다.

④ 김훈 특유의 묵직하고도 아름다운 문체

김훈 작가는 특유의 문체로 안중근의 심리와 당시의 시대적 분위기를 섬세하고도 강렬하게 묘사한다. 안중근이 느끼는 고독과 두려움, 신념과 희망, 삶과 죽음 사이의 복합적인 감정이 김훈의 문장을 통해 독자의 마음 깊숙이 파고든다. 작품의 문장 하나하나가 마치 역사의 현장을 직접 목격하는 듯한 생동감을 준다.

4. 작품을 읽고 느낀 점

『하얼빈』은 안중근이라는 인물을 더 깊이 이해하게 만든 작품이었다. 우리는 종종 안중근을 영웅, 위인으로만 기억하지만, 이 소설을 통해 그가 인간으로서 어떤 고민을 했고, 어떤 감정을 품었으며, 얼마나 처절한 결심 끝에 총을 쥐었는지를 느낄 수 있었다.

5. 마무리

김훈 작가의 『하얼빈』은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하되, 문학적 상상력을 더해 안중근 의사의 삶과 신념을 더 깊이 있게 조명한 작품이다. 그의 삶과 죽음, 그리고 남긴 메시지는 시간이 지나도 여전히 우리에게 큰 울림을 준다.

『하얼빈』은 안중근의 삶을 통해 신념과 희생, 평화와 인간의 본질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만드는, 꼭 읽어야 할 작품이다.

반응형